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205)
[Python] 파이썬 리스트에 요소 추가하기 리스트에 요소를 추가하는 방법은 크게 두가지가 있습니다. 리스트명.append(요소) append함수는 해당 리스트의 맨 마지막에 요소를 추가합니다. user_1 = ['Jason' , 'Smith', 'Kevin'] user_1.append('Cathy') print(user_1) 위 코드에서는 user_1의 맨 마지막에 요소를 추가하여 ['Jason' , 'Smith', 'Kevin', 'Cathy'] 가 됩니다. 리스트명.insert(위치, 요소) insert함수는 리스트의 특정 위치에 요소를 추가합니다. user_1 = ['Jason' , 'Smith', 'Kevin'] user_1.insert(1,'Cathy') print(user_1) 위 코드에서는 1번째 위치에 'Cathy'라는 원소를 추가..
[Python] 파이썬 리스트 연결 리스트 연결 +연산자를 이용한 리스트 연결 리스트1 + 리스트2 + ........ 리스트 n 위 처럼 리스트를 + 연산자를 활용하여 연결할 수 있습니다. 아래 예제는 user_1과 user_2 리스트를 + 연산자를 통해 연결한 코드입니다. user_1 = ['Jason' , 'Smith', 'Kevin'] user_2 = ['Sunny', 'Jamie'] print(user_1 + user_2) >>>['Jason', 'Smith', 'Kevin', 'Sunny', 'Jamie'] 아래와 같이 여러개의 리스트를 연결할 수도 있습니다. user_1 = ['Jason' , 'Smith', 'Kevin'] user_2 = ['Sunny', 'Jamie'] user_3 = ['Vicoria'] print(us..
[Python] 딕셔너리에 키가 있는지 체크하기 딕셔너리에 존재하지 않는 키에 접근하는 경우 파이썬은 KeyError를 발생시킵니다. 그러므로 딕셔너리에 접근할 때에는 키값을 체크해주고 접근하는 것이 안전한데요. 파이썬에서 키를 체크하는 방법은 in 키워드를 사용하는 방법과 get 함수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Python 2에서는 키 존재를 체크하기 위해 has_key 함수를 지원했지만 3에서는 지원하지 않습니다.) in 키워드 찾고자하는 키 in 딕셔너리 in 키워드를 사용하면 딕셔너리 안에서 찾고자하는 키가 있는지 없는지를 True 또는 False로 알려줍니다. 아래 예제 코드는 name이라는 키가 있는 경우에만 해당 값을 출력하는 코드입니다. car = {"name" : "BMW", "price" : "7000"} if "name" in ..
[Python] 딕셔너리 값 추가/제거 하기 딕셔너리에 값 추가하기 딕셔너리명[새로운 키값] = 새로운 값 딕셔너리에 새로운 값을 추가하고 싶다면 위 방법을 사용하면 추가할 수 있습니다. 아래 예제를 통해 살펴보면 쉽게 이해하실 수 있습니다. car = {"name" : "BMW", "price" : "7000" } car["series"] = 7 print(car) {'name': 'BMW', 'price': '7000', 'series': 7} car 딕셔너리에 series라는 키에 7이라는 값을 할당하였습니다. 만약 기존에 존재하는 키값에 새로운 값을 할당하면 기존의 있는 값을 대치하게 됩니다. car = {"name" : "BMW", "price" : "7000" } car["name"] = "Santafe" print(car) {"name..
[Python] 파이썬의 식별자 규칙과 스타일(스네이크 케이스, 캐멀케이스) 파이썬의 식별자는 변수, 함수, 클래스 명들을 개발자가 정의하여 사용하는 단어입니다. 단어를 정하실때는 몇가지 규칙이 있는데요. 그 규칙은 아래와 같습니다. 키워드 사용금지 특수문자는 언더바(_)만 사용가능 숫자로 시작하면 X 공백 포함 X 위 규칙에만 맞으면 파이썬에서 식별자로 사용가능합니다. 영어 뿐만 아니라 한글, 중국어, 스페인어 전 세계 언어를 모두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영어 외에는 거의 사용하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개발을 하다보면 전세계 사람들이 코드를 보게 되는데 가장 많은 개발자들이 이해할 수 있는 언어가 영어기 때문입니다. 위의 규칙에 따르면 아래와 같은 케이스는 식별자로 선언 가능합니다. item user_list _userlist UserList user1 하지만 아래와 같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