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205)
[Python] 파이썬 리스트 원소 역순으로 바꾸기 - reversed()함수 리스트 원소 역순으로 바꾸기 - reversed()함수 리스트의 원소의 순서를 역순으로 바꾸고 싶을때는 reversed()함수를 사용하면 됩니다. >>> item = [1, 2, 3, 4, 5] >>> reversed_item = reversed(item) >>> print(reversed_item) # >>> print(list(reversed_item)) # [5, 4, 3, 2, 1] [5, 4, 3, 2, 1] reversed() 함수는 '이터레이터' 형식의 값을 리턴해주기 떄문에 reversed_item을 사용하면 객체의 주소가 리턴됩니다. 이를 다시 리스트로 형변환 하기 위하여 list()함수를 사용하였습니다.
[Python] 파이썬 리스트의 모든 원소 더하기 - sum() 리스트의 모든 원소 더하기 - sum() 리스트의 모든 원소를 더하기 위해서는 sum에 리스트를 인자로 넘겨주면 됩니다. >>> item = [5, 13, 66, 12, 78, 1, 78] >>> sum(item) 253
[Python] 파이썬 리스트에서 최소/최대 값 찾기 - min/max 함수 리스트에서 최소값 찾기 - min() 파이썬의 min함수를 사용하면 리스트에서 최소값을 찾을 수 있습니다. >>> item = [5, 13, 66, 12, 78, 1, 78] >>> min(item) 1 리스트에서 최대값 찾기 - max() 파이썬의 max함수를 사용하면 리스트에서 최대값을 찾을 수 있습니다. >>> item = [5, 13, 66, 12, 78, 1, 78] >>> max(item) 78
[Python] 파이썬 range 함수 사용법 파이썬의 range함수는 특정 구간의 숫자의 범위를 만들어주는 함수입니다. 이 함수를 이용하면 특정 횟수 만큼 반복하는 반복문을 만들기 유용합니다. range함수 사용법 range함수 매개변수에 숫자를 한개만 넣는 경우 range(A) 0부터 A-1 까지의 정수 범위를 반환합니다. A까지가 아닌 A-1 이라는 것에 주의하세요. >>> a = range(7) >>> print (list(a)) [0,1,2,3,4,5,6] range함수 매개변수에 숫자를 두개 넣는 경우 range(A, B) A부터 B-1 까지의 정수 범위를 반환합니다. B까지가 아닌 B-1 이라는 것에 주의하세요. >>> a = range(2, 7) >>> print (list(a)) [2,3,4,5,6] range함수 매개변수에 숫자를 ..
[Python] 파이썬 리스트 요소 제거하기 파이썬 리스트에서 요소를 제거하는 방법은 크게 인덱스를 통한 제거 방법과 값을 통한 제거 방법이 있습니다. 인덱스로 제거하기 del 리스트명[인덱스] del 키워드를 통해 리스트명에 인덱스를 넣어주면 해당 인덱스에 위치한 요소가 지워집니다. 아래 예제 코드에서는 1번 인덱스에 위치한 Smith가 삭제되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결과적으로 user_1에는 ['Jason', 'Kevin'] 이 남아있습니다. user_1 = ['Jason' , 'Smith', 'Kevin'] del user_1[1] # 'Smith' 삭제 print(user_1) del을 통한 삭제는 슬라이싱을 통해 여러개를 한번에 삭제도 할 수 있습니다. 아래 코드는 Smith와 Kevin을 슬라이싱 기법을 활용하여 삭제합니다. (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