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ython

(58)
[Python] 파이썬 이터레이터(iterator) 파이썬 이터레이터(iterator) 파이썬에서 반복가능한 것들을 이터러블(iterable)이라고 합니다. 대표적으로 리스트, 딕셔너리, 문자열 튜플 등을 이터러블 객체라고 합니다. 이 중 next()함수를 통해 하나하나 꺼낼 수 있는 요소를 바로 이터레이터(iterator)라고합니다. >>> item = [1, 2, 3, 4, 5] >>> reversed_item = reversed(item) >>> print(next(reversed_item)) >>> print(next(reversed_item)) >>> print(next(reversed_item)) >>> print(next(reversed_item)) >>> print(next(reversed_item)) 5 4 3 2 1 위 코드는 아래와 같..
[python] 파이썬 문자열 합치기 나누기 split/join 함수 문자열 나누기- split() 함수 파이썬에서 문자열을 쪼개는 함수는 split()함수입니다. 이 함수는 파라미터로 구분자를 주면 해당 구분자를 기준으로 문자열을 잘라 리스트 형식으로 반환합니다. 만약 파라미터에 아무것도 주지 않으면 공백을 기준으로 문자를 나눕니다. 문자열.split(구분자) >>> str = "Hi my name is limcoing" >>> splitted_str = str.split() >>> print(splitted_str) ['Hi', 'my', 'name', 'is', 'limcoing'] 문자열 합치기 - join 함수 join함수는 리스트의 문자열들을 합치는 역할을 합니다. 사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join(리스트) >>> str = "Hi my name is l..
[Python] 파이썬 리스트 원소 역순으로 바꾸기 - reversed()함수 리스트 원소 역순으로 바꾸기 - reversed()함수 리스트의 원소의 순서를 역순으로 바꾸고 싶을때는 reversed()함수를 사용하면 됩니다. >>> item = [1, 2, 3, 4, 5] >>> reversed_item = reversed(item) >>> print(reversed_item) # >>> print(list(reversed_item)) # [5, 4, 3, 2, 1] [5, 4, 3, 2, 1] reversed() 함수는 '이터레이터' 형식의 값을 리턴해주기 떄문에 reversed_item을 사용하면 객체의 주소가 리턴됩니다. 이를 다시 리스트로 형변환 하기 위하여 list()함수를 사용하였습니다.
[Python] 파이썬 리스트의 모든 원소 더하기 - sum() 리스트의 모든 원소 더하기 - sum() 리스트의 모든 원소를 더하기 위해서는 sum에 리스트를 인자로 넘겨주면 됩니다. >>> item = [5, 13, 66, 12, 78, 1, 78] >>> sum(item) 253
[Python] 파이썬 리스트에서 최소/최대 값 찾기 - min/max 함수 리스트에서 최소값 찾기 - min() 파이썬의 min함수를 사용하면 리스트에서 최소값을 찾을 수 있습니다. >>> item = [5, 13, 66, 12, 78, 1, 78] >>> min(item) 1 리스트에서 최대값 찾기 - max() 파이썬의 max함수를 사용하면 리스트에서 최대값을 찾을 수 있습니다. >>> item = [5, 13, 66, 12, 78, 1, 78] >>> max(item) 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