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205) 썸네일형 리스트형 [elasticsearch] 샤드 개수 설정하기 엘라스틱서치에서 샤드를 설정하기 위해서는 인덱스를 생성과 동시에 설정해주어야 한다. 만약 이미 생성된 인덱스에 샤드의 갯수를 바꾸고 싶다면, 리인덱싱하는 방법을 통해 샤드의 갯수를 수정하는 방법밖에 없다. 그러니, 인덱스를 생성할 때 샤드의 갯수를 신중하게 고려하여 설정하여야 한다. 샤드 갯수를 설정하는 방법은 인덱스를 생성할 때 추가적으로 index.number_of_shards의 값을 설정해준다. PUT index명 { .... "settings": { "number_of_shards": 8, "number_of_replicas": 1 } .... } 위 예제에서는 샤드의 갯수를 8개로 설정했다. 이는 환경에 따라 다르게 설정하면 된다. 보통 노드수, 코어수를 고려하여 실험적으로 저 값을 정한다. n.. [Linux] 리눅스 쉘로 파일 내용만 삭제하는 명령어 리눅스에서 파일은 그대로 두고 안에 내용만 삭제하고 싶을 때는 아래 명령어를 사용하면 된다. cat /dev/null > 파일명 예제 # cat fes.log 1 2 3 4 5 # cat /dev/null fes.log # cat fes.log fes.log 파일의 내용을 지우고 싶을때, 위 명령어를 사용하면 파일은 남고 내용은 지워진 것을 볼 수 있다. ubuntu에서 docker mysql 이미지 설치 및 실행 ubuntu로 mysql 이미지를 받아서 실행하는 예제입니다. 환경 : ubuntu 16.04 1.도커 이미지 검색 docker search mysql NAME DESCRIPTION STARS OFFICIAL AUTOMATED mysql MySQL is a widely used, open-source relation… 9137 [OK] mariadb MariaDB is a community-developed fork of MyS… 3235 [OK] mysql/mysql-server Optimized MySQL Server Docker images. Create… 676 [OK] centos/mysql-57-centos7 MySQL 5.7 SQL database server 68 mysql/mysql-cl.. [Linux] 하위 폴더 내에 있는 모든 코드 라인수 출력하기 특정 폴더 내의 하위 폴더의 모든 소스코드 라인수를 출력하고 싶다면 아래 명령어를 이용하면 된다. wc -l `find . -name '*.c'` 위 명령어는 .c 확장자를 통해 c언어로 작성된 소스코드 라인수를 측정하는 명령어다. .c를 적절히 바꾸면 원하는 소스코드의 량을 linux 명령어를 측정할 수 있다. ex) json 파일 라인수 출력 wc -l `find . -name '*.json'` ex) python 소스코드 라인수 출력 wc -l `find . -name '*.py'` [Linux] tar 파일 압축 및 압축 풀기 명령어(tar, tar.gz) tar 압축 파일이 아닌 여러개 파일을 하나로 묶는 개념. 리눅스 환경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압축에 소비되는 시간이 적고 압축에 드는 리소스가 상대적으로 적다. 반면 용량이 거의 줄지 않는다. tar 파일 압축 및 압축해제 명령어 tar 압축하기 tar -cvf [파일명.tar] [폴더명] ex) tar -cvf sample.tar /home/sun/sample tar 파일 압축풀기 tar -xvf [파일명.tar] ex) tar -xvf sample.tar tar.gz tar 파일을 압축하는 가장 좋은 압축 옵션이다. 리눅스 환경에서 주로 사용한다. 압축시 용량이 크게 줄고 리소스를 많이 소모하지 않는다. 다만 tar.bz2 방식보다는 압축률이 떨어지는 편이다. tar.gz 파일 압축 및 압축해제 .. 이전 1 ··· 19 20 21 22 23 24 25 ··· 41 다음